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파약회
초한무림의 비밀결사.
기원
일초지언으로 “비인외도의 수련을 금하라” 요청했던 장삼봉. 항우가 그와의 약속을 지키기로 결정한 것은 초 제국에 거대한 혼란을 불러왔다. 마공은 초 제국의 뿌리, 강자존과 숭무주의에서 자라난 가장 거대한 줄기였고 제국 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가장 굵은 기둥이었기 때문이다.
마공을 금지시킨다는 것은 단순히 나쁜 짓을 못하게 한다는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강함이 모든 것에 우선시된다는 수천만인의 신념을, 무의 궁극을 추구하며 쌓아올려왔던 수천년간의 노력과 성과를 무너트리는 것과 같았다. 마공을 근간으로 하던 수많은 대문파와 명문가들이 쓰러졌고, 버티고 선 거목들도 자존심을 꺾고 자신의 살과 뼈를 크게 도려내어야했다. 그리고 이를 견디지 못한 이들이 있었다.
스스로의 성취. 오랜 세월동안 쌓아올린 일파의 탑을 허물 수 없던 이들은 항우의 눈을 피해 자신들의 무공을 보존하기로 결심했다. 언젠가 그들의 마공으로 명예를 회복하고, 나약해진 초제국을 쇄신할 수 있도록. 무를 향한 순수한 열정으로 제국을 다시 채울 그날까지.
위치
주로 변경 등 행정력이 부족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중심 거점은 연운국(진주언가) 산서성.
목표
무의 궁극을 추구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수단을 가리지않는다. 이들에게는 비인외도 또한 무련(武鍊)을 위한 하나의 도구, 아니 핵심적인 도구이다. 마공의 한계를 부순 초월마공의 탄생이 무의 궁극으로 향하는 길에 맞닿아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외도를 제약하는 구파일방의 일초지언을 무련을 막아서는 방해물로 간주하며 모든 일초지언을 깨트리기 위해 암약한다.
한마디로, 무의 궁극을 위해 일초지언을 무너뜨려야한다고 말하는 마인들의 모임. (무의 궁극 → 마공의 한계를 깨트린 초월마공 창조 → 일초지언 파약)
특징
- 초 제국 마공의 수천년 역사가 모인 검은 바다.
- 수천년간 초한무학의 주류였던 분야를 집대성한만큼 그 저력은 엄청나다.
- 특히 장삼봉의 일초지언 직후, 마공 금지를 반대하며 처음 결성되었을 당시에는 제국 최대 최강의 위세를 자랑했다.
- 비록 최종적으로 항우의 3초에 싹 쓸려나가긴했지만….
- 아무튼 150년 전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파약회의 이름은 여전히 치를 떨 정도의 거악.
- 따라서 파약회는 자신들의 이름을 드러내지않는 비밀결사의 형태를 띄고 있다.
- 파약회라는 이름과 전체 구조, 최종 목표를 알고 있는 이들은 파약의 맹세를 계승한 10명 뿐이다.
- 말하자면 이들만이 진정한 파약회원인셈.
- 이 파약회원들이 서로 논의하여 조직의 방향과 행동을 결정하는 과두정체제다.
- 원칙적으로는 1위를 제외한 모든 회원이 동일한 의결권을 갖는다.
- 하지만 강자존을 숭상하는 조직 특성상, 위계에 따라 발언권이 다르다.
- 1위는 2표를 행사할 수 있다.
- 일반적인 하수인들은 숭무련 등 다른 이름으로 자신들을 인지하고 있다.
근황
인물
파약회 참조.
무공
파약회 참조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