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오레마스_전용포텐셜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오레마스_전용포텐셜 [2018/12/04 01:58] – 바깥 편집 127.0.0.1오레마스_전용포텐셜 [2023/01/05 13:00] (현재) 취젠
줄 6: 줄 6:
   * B랭크 이상은 완전히 같은 효과의 전용 포텐셜은 룰상 없다.   * B랭크 이상은 완전히 같은 효과의 전용 포텐셜은 룰상 없다.
     * 룰상 「완전히 같은 효과」라는 것은, 조금도 틀리지 않고 완전히 같다는 의미.     * 룰상 「완전히 같은 효과」라는 것은, 조금도 틀리지 않고 완전히 같다는 의미.
 +  * 아래의 전용들은 어디까지나 가장 많이 나오는 형태일 뿐 조금씩 변형되거나 완전히 다른 포텐셜들도 적지 않다.
  
  
줄 20: 줄 21:
 「추격」효과의 발동 시, 기술의 데미지를 2배로 한다.\\ 「추격」효과의 발동 시, 기술의 데미지를 2배로 한다.\\
 『천부의 재능』과 「능력형」의 트레이너만이 가능한 『필중추미』의 강화형. 『천부의 재능』과 「능력형」의 트레이너만이 가능한 『필중추미』의 강화형.
 +
 +ㆍ『확장추미』…\\
 +전용 포텐셜. 1/시/선행\\
 +「기능확장:○○」를 내보낸다.\\
 +
 +「○○」… ○/○/200/─/단일/±0/×/「필중」기술. 「추격」기술. 「추격」효과의 발동 시, 기술의 데미지를 2배로 한다.\\
 +
 +「오의」급 기능확장과 『필중추미』가 합쳐진 형태의 전용 포텐셜.\\
 +스레와 어장에 따라서는 기술위력에 조정이 들어가기도 한다.\\
  
 ㆍ『삼각효과』…\\ ㆍ『삼각효과』…\\
줄 45: 줄 55:
 「오의」급의 기능확장과 『삼각효과』가 합쳐진 기술.\\ 「오의」급의 기능확장과 『삼각효과』가 합쳐진 기술.\\
 산이든 바위든 때려부수는 것에도, 별명 【『암반나누기』】라고도 불린다. 산이든 바위든 때려부수는 것에도, 별명 【『암반나누기』】라고도 불린다.
 +
 +ㆍ『마검』…\\
 +전용 포텐셜. 1/시/선행\\
 +「기능확장:○○」를 내보낸다.\\
 +이 포텐셜을 통상 교대로 필드에 나온 턴의 가장 마지막에도 발동할 수 있다.\\
 +환경이나 스레에 따라서는 『와일드』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는 모양.\\
 +「오의」를 내보내는 전용의 일종. 교대와 동시에 공격을 할 수 있는 우수 포텐셜.\\
 +보통은 『돌아와!』와 함께 사용해 일방적으로 상대를 후려치는 식으로 쓰인다.\\
  
 ㆍ『선행유턴』…\\ ㆍ『선행유턴』…\\
줄 68: 줄 86:
 어느 한쪽만 「D」이하인 경우는 해당하는 분류의 기술만을 회피한다.\\ 어느 한쪽만 「D」이하인 경우는 해당하는 분류의 기술만을 회피한다.\\
 그 중에서도 센스가 있는 자는 회피 후에 어떠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중에서도 센스가 있는 자는 회피 후에 어떠한 효과를 발휘한다.
- 
-ㆍ『스토킹』…\\ 
-전용 포텐셜.\\ 
-『에이스』가 필드에 나왔을 때, 아군과 임의교대해서 필드에 나올 수 있다. 
  
 ㆍ『페이스메이커』…\\ ㆍ『페이스메이커』…\\
줄 78: 줄 92:
 『어시스트』에게 적합한 포텐셜이나, 누구나 습득할 수 있는건 아니다.\\ 『어시스트』에게 적합한 포텐셜이나, 누구나 습득할 수 있는건 아니다.\\
 일반적으로, 「특성:무드메이커」인 포켓몬은 습득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특성:무드메이커」인 포켓몬은 습득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
-『어시스트』(원래 『어시스트』였던 『베테랑』)이 아니면 전용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인챈터』는 가질 수 없다)+『어시스트』(원래 『어시스트』였던 『베테랑』)이 아니면 전용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인챈터』는 가질 수 없다)\\ 
 +유턴이나 교대를 주력으로 삼는 『에이스』의 경우, 역으로 『에이스』가 자체적으로 『페이스메이커』를 달고 있기도 한다.\\
  
 ㆍ『텔레포터』…\\ ㆍ『텔레포터』…\\
줄 86: 줄 101:
 『텔레포터』는 상대보다 아군을 조건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텔레포터』는 상대보다 아군을 조건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조건에 따라서는 포켓몬의 종족 포텐셜로도 비슷한 것은 있다. 조건에 따라서는 포켓몬의 종족 포텐셜로도 비슷한 것은 있다.
 +
 +ㆍ『스토킹』…\\
 +전용 포텐셜.\\
 +『에이스』가 필드에 나왔을 때, 아군과 임의교대해서 필드에 나올 수 있다.\\
 +주로 『킬러』가 들고 있는 전용 포텐셜.
 +
 +ㆍ『역선회』…\\
 +전용 포텐셜.\\
 +아군이 필드에 나와 2T째의 T종료시, 아군과 임의 교대해 필드에 나올 수 있다.\\
 +『텔레포터』의 하위 부류이자 교대계열 전용 포텐셜 중에서 가장 메이저한 타입.\\
 +교대 조건에 따라 『역윤회』『역장전』『역둔주』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ㆍ『강화관통』…\\ ㆍ『강화관통』…\\
-전용 포텐셜. 1/시/선행+전용 포텐셜. 1/시/선행\\
 자신의 「○」기술을 강화(1.5배)하고, 상대의 「방어」등의 기술을 관통한다. 자신의 「○」기술을 강화(1.5배)하고, 상대의 「방어」등의 기술을 관통한다.
 +
 +ㆍ『강행돌파』…\\
 +전용 포텐셜. 1/시/선행\\
 +자신의 「○」기술을 강화(1.5배)하고, 상대의 「상태변화」를 해제한다.\\
 +『강화관통』의 강화형. 「방어」도 「상태변화」의 일종임에 유의.\\
 +일부 스레나 어장에서 실험적으로 등장한 전용이라 실제 채용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ㆍ『추가반동』…\\ ㆍ『추가반동』…\\
줄 95: 줄 127:
 가장 마지막에 「기능확장:파괴광선」에 의한 추가행동을 얻는다.\\ 가장 마지막에 「기능확장:파괴광선」에 의한 추가행동을 얻는다.\\
 (※「파괴광선」의 부분에는 다음 T 행동불능이 되는 종류의 기술이 해당한다) (※「파괴광선」의 부분에는 다음 T 행동불능이 되는 종류의 기술이 해당한다)
 +
 +ㆍ『메가진화』…\\
 +전용 포텐셜.\\
 +T개시시, 「메가진화」한다.\\
 +일부 『올드 타입』만이 가질 수 있는 전용 포텐셜.\\
 +종족치 증강에 더불어 종족포텐셜 일부, 분류가 『메가진화』로 바뀌고 속별이 『∼나이트』계통으로 바뀐다.
  
 ㆍ『삼점방호』…\\ ㆍ『삼점방호』…\\
 전용 포텐셜.\\ 전용 포텐셜.\\
-아군과 교대해서 필드에 나올 때,\\+아군과 교대해서 필드에 나왔을 때,\\
 상대의 공격을 받을 때, 상대의 능력(기술)의 상승, 강화, 상태변화를 무시한다.\\ 상대의 공격을 받을 때, 상대의 능력(기술)의 상승, 강화, 상태변화를 무시한다.\\
 『삼각효과』에서 따온 명명. 『삼각효과』에서 따온 명명.
 +
 +ㆍ『강체술』…\\
 +전용 포텐셜. 1/시\\
 +이 퍼텐셜은 공격 명중시에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기술의 데미지를 2배로 한다.\\
 +격투 타입이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한 포텐셜.\\
 +헛손질할 염려가 없다는 점에서 지시가 낮은 트레이너들이 주로 사용한다.
 +
 +ㆍ『고속설치』…\\
 +전용 포텐셜.\\
 +선발(죽어내밀기)로 필드에 나왔을 때,\\
 +자신의 체력을 1/4 감소시켜 적진에 「〇〇」를 설치 할 수 있다.\\
 +오레마스에서부터 등장했던 전용이지만 정식으로 유형 명칭이 붙은 것은 Try.
 +
 +ㆍ『범프업』…\\
 +전용 포텐셜.\\
 +자신의 전 종족치를 1랭크 올린다.\\
 +트레이너의 「능력」자질이 낮거나 포켓몬이 해당 전용에 자질이 없을 경우\\
 +【필드에 있을 때, 트레이너의 지시를 「1」랭크 내린다.】는 디메리트가 붙기도 한다.\\
 +
 +ㆍ『속사』…\\
 +전용 포텐셜.\\
 +필드에 나와 최초로 내보내는 기술의 우선도를 「+1」할 수 있다.\\
 +트레이너의 「능력」이 높다면 우선도의 증가량이 「+2」로 올라간다.\\
 +
 +ㆍ『아라가미탄』…\\
 +전용 포텐셜. 1/시/선행\\
 +「기능확장:아라가미탄(○)」을 내보낸다.\\
 +
 +「아라가미탄(○)」… 물리/○/150/─/단일/±0/×/「필중」기술. 「탄」「볼」기술. 상대의 「방어」등의 기술을 관통한다.\\
 +
 +「아라가미」종이 주로 사용하는 전용 포텐셜 유형.\\
 +「아라가미」라고 반드시 이 전용을 익혀야 한다거나 「아라가미」이외의 포켓몬은 익히지 못한다는 제약은 딱히 없다.\\
오레마스_전용포텐셜.15438887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2/04 01:58 저자 127.0.0.1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