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프리즈마☆jojo☆이리야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프리즈마☆jojo☆이리야 [2017/08/09 14:15] – 오류수정 sphakelo프리즈마☆jojo☆이리야 [2017/08/11 08:18] (현재) – 제거됨 sphakelo
줄 1: 줄 1:
-=====[AA/다이스] 프리즈마☆JOJO☆이리야===== 
  
-1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8029682/ \\ 
-2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8120671/ \\ 
-3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8375393/ \\ 
-4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8633132/ \\ 
-5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8989026  \\ 
-6어장 - http://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489492093/ \\ 
- 
-(초본) 
- 
-====개요==== 
-설노하양내◆Bfg/wCwvr. ((이세리◆Bfg/wCwvr.))의 프리즈마 이리야 및 죠죠 크로스오버 2차창작 AA작품.\\ 
-프리즈마 이리야의 서번트 카드를 죠죠의 스탠드 카드로 바꿔보자는 발상에서 나온 연재물로써 순수 다이스물을 지향하지만 
-상대하기 곤란한 스탠드가 적으로 튀어나올 경우 그걸 주인공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어장주와 참치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며 
-고민하며 전개를 풀어나간다는 의미에서 토론어장의 성격도 들어있으며 극적인 전개마다 초수((조로메))도 나타난다. \\ 
- 
-본디 프리죠죠만을 상정했으나 스레가 진행될수록 온갖 요소가 짬뽕이 되어가다 마침내 의지와 우정의 크로스로 폭발사산하는게 일품.\\ 
- 
- 
- 
-====시스템==== 
- 
-=== 다이스 === 
- 
-본 작품은 앙코물(('앙코'는 스레민들의 앵커를 받지 않고 오로지 스레주가 직접 굴리는 다이스 하나만 사용되어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기상천외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감상하는 작품을 통칭한다. 주로 개그, 병맛물에서 사용되는 방식이지만 진지한 분위기로 흐르기도 한다.))로써 거의 모든 변수((전투 상황과 분기가 갈려질 수 있는 대화, 그리고 각 캐릭터간의 호감도들))들이 다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값의 고저에 따라 인물관계및 원작노선이 초전개가 되거나 엉망진창이 되는건 기본. 후반부에서는 한창 떡밥이 깔려가던 것들이 다이스 몇 번만에 전부 없었던 일이 되는 등 무지막지하게 폭주하며 내달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몰입감있게 스토리를 전개하는 모습에서 어장주의 내공이 엿보여진다. \\ 
- 
- 
- 
-=== 토론회 === 
- 
-어장주와 참치들이 머리를 붙들고 전투방법에 대해 씨름하는 공간.\\ 
-위협적인 스탠드에 대한 떡밥이 주어지면 각 스탠드들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해 서로 의견을 교류했었다.\\ 
-단순한 다이스처리로 끝나는 경우가 잦았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더욱 심도 있는 토론이 될 뻔 했었다... \\ 
- 
- 
- 
-=== 초수(조로메) === 
- 
-제한시간 이내에 어장주가 정한 시간초에 맞춘 레스가 X개 이상 달리면 특전이 주어지는 것.\\ 
-예를 들어, 5분안에 조로메 레스(같은 숫자 콤마)를 3개 이상 성공시키라고 제시하면 참치들은 00초, 혹은 11초, 22초에 맞춰 레스를 적어 올려 3개 이상 올리는걸로 판정성공에 들어간다. 
- 
-  
- 
- 
-==== 설정 ==== 
- 
-=== 스탠드 카드 === 
- 
-이 세계에는 스탠드 카드란 것이 존재한다. 카드란 마술협회에서 만들어낸 초고도 마술의 정점. 
-사람의 정신이 깃든 스탠드라는 물체를 카드란 형태로 이뤄내어, 그 스탠드의 형태를 완전하게 갖춘 개념무장을 뜻한다. 
-이 카드는 얼핏 보기에는 평범한 카드의 이미지를 하고있다. 하지만 이 카드 안에는 정신 에너지로 가득찬 스탠드가 존재하기에, 함부로 접촉한다면 
-정신 에너지에 휩쓸리며 일반인의 경우 그 카드에게 지배당할 위험까지 존재한다. 이떄, 희생자는 스탠드와 옛 주인이 가진 사념에 조종당하는 꼭두각시가 된다. 
- 
-스탠드 카드의 위력은 제각각. 내버려두면 위험한 수준에서부터, 마을이 휘말리는가 하면  
-아예 세계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수준에 이르기까지 각각 카드들은 서로 다른 위험성을 가지고있다.  
-중요한건, 스탠드는 같은 스탠드 카드로 대항하지 않는 한 절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칫하면 눈치채지도 못한채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 
- 
-거둬지지 않은 스탠드 카드는 보통 두 형태로 방치되어 있다. 하나는 야생의 폭주상태. 지성없이 날뛰려는 경향이 짙다. 프리즈마 이리야의 흑화 서번트카드와 비슷하다고 한다. 
-다른 하나는 이미 누군가가 카드를 주워버린 경우. 해당 인물의 정신력에 따라 스탠드가 희생자에게 얼마나 지배력을 행사하는지가 결정된다. 이떄 판정은 0~9 다이스로 판정된다. 
- 
-해당 작품에서 나오는 스탠드 종류는 총 30여 개. 5부 스탠드풀까지 예정되어 있다고. 스탠드 선정의 기준은 AA로 표현이 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 
- 
- 
- 
-=== 마법소녀 === 
- 
-마도원수 젤릿치가 개발한 최고위 마력예장, 카레이도 스틱을 매개로 스탠드를 다루는 스탠드사. 
- 
-스탠드 카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카레이도 스틱이 필요하다. 스틱에 카드를 인스톨한 뒤, 스탠드에게 명령을 내리면 해당 능력을 조종할 수 있다. 
-정신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스탠드도 강해진다. 
- 
-어째선지 스틱을 사용할 떄는 프릴달린 마법소녀 복장으로 변하지만 딱히 중요한 의미는 없는듯 하다. 
- 
- 
- 
- 
- 
-=== 스탠드사 === 
-스탠드 카드를 인스톨하지도, 지배당하지도 않은채 카드와 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스탠드사]. 
-본래 스탠드는 카레이도 스틱과 마력으로 인스톨해서 쓰는 것이 아니였다. 애초에 카드조차 아니였으니까. 그 정체는 사용자들의 정신 그 자체. 
-그렇기에 스탠드에게 휘말린 사람들은 과거 사용자들의 정신에 끌려가 조종당하기 일 수였던 것이다. 카레이도 스틱은 마력을 이용하여 정신오염을 막고 스탠드의 힘을 억지로 내게 해주는 것에 불과했다. 
- 
-그러나 만약 사용자의 정신과 카드에 새겨진 스탠드의 정신이 비슷하다면, 스탠드가 그 의지를 인정하곤 정신에 링크하여  
-스탠드사로서의 힘을 온전하게 끌어올 수 있는 카드의 주인이 될 수 있다. 
- 
-==== 스토리 ==== 
- 
-=== Prologue === 
- 
-=== 첫 번쨰 스탠드 === 
- 
-=== 두 번쨰 스탠드 === 
- 
-=== 세 번쨰 스탠드 === 
- 
-=== 네 번쨰 스탠드 === 
- 
-=== 다섯 번쨰 스탠드 === 
- 
-=== 여섯 번째 스탠드 === 
- 
-=== ? ? ? ? ? ? ? ? ? ? ? === 
- 
-=== Epilogue === 
- 
-\\ 
-\\ 
-\\ 
-\\ 
-\\ 
-\\ 
-==== 등장인물 ==== 
- 
-▶ [[https://namu.wiki/w/%EC%9D%B4%EB%A6%AC%EC%95%BC%EC%8A%A4%ED%95%84%20%ED%8F%B0%20%EC%95%84%EC%9D%B8%EC%B8%A0%EB%B2%A0%EB%A5%B8(Fate/kaleid%20liner%20%ED%94%84%EB%A6%AC%EC%A6%88%EB%A7%88%E2%98%86%EC%9D%B4%EB%A6%AC%EC%95%BC)|이리야 폰 아인츠베른]]\\ 
-▶ [[https://namu.wiki/w/%EB%AF%B8%EC%9C%A0%20%EC%97%90%EB%8D%B8%ED%8E%A0%ED%8A%B8|미유 에델펠트]]\\ 
-▶ [[https://namu.wiki/w/%ED%86%A0%EC%98%A4%EC%82%AC%EC%B9%B4%20%EB%A6%B0|토오사카 린]]\\ 
-▶ [[https://namu.wiki/w/%EB%A3%A8%EB%B9%84%EC%95%84%EC%A0%A4%EB%A6%AC%ED%83%80%20%EC%97%90%EB%8D%B8%ED%8E%A0%ED%8A%B8|루비아젤리타 에델펠트]]\\ 
-▶ [[https://namu.wiki/w/%EC%B9%BC%EB%A0%88%EC%9D%B4%EB%8F%84%EC%8A%A4%ED%8B%B1|칼레이도 스틱]]\\ 
-▶ [[https://namu.wiki/w/%EA%BC%AC%EB%A7%88%20%EA%B8%B8%EA%B0%80%EB%A9%94%EC%89%AC|꼬마 길가메쉬]]\\ 
-▶ [[https://namu.wiki/w/%EC%97%90%EB%AF%B8%EC%95%BC%20%EC%8B%9C%EB%A1%9C(Fate/kaleid%20liner%20%ED%94%84%EB%A6%AC%EC%A6%88%EB%A7%88%E2%98%86%EC%9D%B4%EB%A6%AC%EC%95%BC)?from=%EC%97%90%EB%AF%B8%EC%95%BC%20%EC%8B%9C%EB%A1%9C(%ED%94%84%EB%A6%AC%EC%A6%88%EB%A7%88%20%EC%9D%B4%EB%A6%AC%EC%95%BC)|에미야 시로]]\\ 
-▶ [[https://namu.wiki/w/%EC%9E%94%20%EB%8B%A4%EB%A5%B4%ED%81%AC%20%EC%96%BC%ED%84%B0|잔다르크 얼터]]\\ 
- 
- 
- 
- 
-==== 기타 ===== 
- 
-\\ 
-\\ 
-\\ 
- 
-{{:스포일러_틀.png?850|}} 
- 
- 
-\\ 
-\\ 
-\\ 
- 
- 
- 
-**※ Xover**\\ 
- 
-사실 프리즈마 이리야와 죠죠만 크로스오버된 것이 아니였다. 
-미유의 학교 및 친우관계 부적응문제가 원작보다 심화되서 아예 따돌림으로 발전. 전교생레벨로 확장되는 바람에 초등학생들의 따돌림을 다룬 작품, '교사 뒷편에는 천사가 묻혀있다'가 떠올려지게 만들더니 
-중반부에서 치비길과의 접전을 계기로 소울이터의 마카 알반((원작의 쿠리하라 스즈카 역))이 진정한 스탠드사로 각성. 
-본디 주인공이었던 이리야 이상의 대활약을 펼치자 반쯤 농담으로 죠죠이터라고 부르던게 이리야의 대폭주가 시작되면서 급전개 시작. 
-해당 세계관이 특이점으로 불려지며 페그오 성분이 끼얹어지더니 마침내 결말은 페이트로 끝나버리고 말았다. 
-각 크로스오버의 개연성은 제쳐두더라도 박력만큼은 매우 인상깊게 전개되었다. 
프리즈마☆jojo☆이리야.150228811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2/04 01:58 (바깥 편집)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