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초한무림:세력:산동악가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초한무림:세력:산동악가 [2023/10/20 07:30] 무명의_정리참치2초한무림:세력:산동악가 [2023/11/15 04:35] (현재) – [무공] 무명의_정리참치2
줄 1: 줄 1:
-====== 개요 ======+====== 산동악가 ======
 초한무림의 [[:초한무림:세력#팔왕가]]. 초한무림의 [[:초한무림:세력#팔왕가]].
  
-○ 군신 악비를 시조로 하는 산동의 왕가. +  * 군신 악비를 시조로 하는 산동의 왕가. 
-악비가 길삼봉의 난을 막아세우고 산동을 토평한 공로로 왕가로 인정받았다.+    악비가 길삼봉의 난을 막아세우고 산동을 토평한 공로로 왕가로 인정받았다.
  
 ===== 위치 ===== ===== 위치 =====
줄 10: 줄 10:
 산동성(분홍색) 산동성(분홍색)
  
-○ 정식 국호는 북송. +  * 정식 국호는 북송. 
-○ 본가 전각 이름은 홍왕관 anchor>1596946069>307+    본가 전각 이름은 홍왕관 anchor>1596946069>307
  
 ===== 목표 ===== ===== 목표 =====
줄 17: 줄 17:
  
 ===== 특징 ===== ===== 특징 =====
-○ 악비가 분서갱유 이후 맥이 끊겼던 공자의 무공 중 일부를 산동에서 발견했고, +  * 악비가 분서갱유 이후 맥이 끊겼던 공자의 무공 중 일부를 산동에서 발견했고, 이것이 산동악가 성세의 근간이 되었다. 
-이것이 산동악가 성세의 근간이 되었다. +    anchor>1596923078>388 anchor>1596923078>482
-anchor>1596923078>388 anchor>1596923078>482 +
-○ 한마디로 말해 선비들. 가문의 본산으로 삼은 태산의 정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
-태산의 정순함이 심신을 맑게 하며, 지나친 오욕칠정을 잔잔하게 다스려준다. +
-anchor>1596923078>711 +
-○ 가풍이 좋게 말하면 검박하고, 나쁘게 말하면 군대같다. 원리원칙주의자. +
-○ 가장 엄격하고 기품있는 왕가라고 하면 이곳. 적어도 십년전까지는 그랬다. anchor>1596946069>911 +
-○ 창 오타쿠들. 수집하는 것도 만드는 것도 좋아한다. +
-다른 데서 아끼는만큼 창 모으는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
-○ 롱기누스도 얻을 뻔한적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 +
-실제로는 니어롱기누스 중 하나인 궁니르를 얻은 것이 와전된 것. +
-anchor>1596923078>747 anchor>1596946069>866+
  
-○ 악연홍이 가문을 다스리는 방법은 《철저한 상명하복, 철저한 신상필벌》 +  * 한마디로 말해 선비들. 
-악비스러웠던 가문 분위기가 좀 더 악연홍스러워졌다. +    * 가문의 본산으로 삼은 태산의 정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 악연홍과 함께 새로 만들어진 가훈들은 다음과 같다. +      * 태산의 정순함이 심신을 맑게 하며, 지나친 오욕칠정을 잔잔하게 다스려준다. 
-《창은 백 가지 병기의 왕》 +    * anchor>1596923078>711 
-《창을 들고 칼쟁이에게 지면 진 새끼가 무능한 거》 + 
-《이게 전쟁터도 안 가본 새끼들이 까불어》+  * 가풍이 좋게 말하면 검박하고, 나쁘게 말하면 군대같다. 원리원칙주의자. 
 +    * 가장 엄격하고 기품있는 왕가라고 하면 이곳. anchor>1596946069>911 
 +      * 적어도 십년전까지는 그랬다. 
 + 
 +  * 창 오타쿠들. 수집하는 것도 만드는 것도 좋아한다. 
 +    * 다른 데서 아끼는만큼 창 모으는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    * 롱기누스도 얻을 뻔한적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 
 +      * 실제로는 니어롱기누스 중 하나인 궁니르를 얻은 것이 와전된 것. 
 +      * anchor>1596923078>747 anchor>1596946069>866 
 + 
 +  * 가주 악연홍이 가문을 다스리는 방법은 《철저한 상명하복, 철저한 신상필벌》 
 +    악비스러웠던 가문 분위기가 좀 더 악연홍스러워졌다. 
 +    악연홍과 함께 새로 만들어진 가훈들은 다음과 같다. 
 +      《창은 백 가지 병기의 왕》 
 +      《창을 들고 칼쟁이에게 지면 진 새끼가 무능한 거》 
 +      《이게 전쟁터도 안 가본 새끼들이 까불어》
  
 ===== 근황 ===== ===== 근황 =====
 87/100 (1491년 기준) anchor>1596923078>313 87/100 (1491년 기준) anchor>1596923078>313
-○ 초 제국 중앙군의 핵심. 제국의 보군을 담당하고 있다. +  * 초 제국 중앙군의 핵심. 제국의 보군을 담당하고 있다. 
-○ 제국 군부 상층부에는 악가인물이 한 명씩 들어가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제국 군부 상층부에는 악가인물이 한 명씩 들어가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원래부터 세력이 작진 않았지만, +    * 군벌이라 그런지 팔왕가 중에서도 특히 고수가 많다. 
-악비 이래 최초의 7단 고수인 창왕 악연홍의 등장으로 더욱 승승장구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      * 이번 세대가 유달리 더 그런편. 
-○ 군벌이라 그런지 팔왕가 중에도 특히 고수가 많다. 이번 세대가 유달리 더 그런편.+ 
 +  * 원래부터 세력이 작진 않았지만, 악비 이래 최초의 7단 고수인 창왕 악연홍의 등장으로 더욱 승승장구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 
 +  * 방계의 덩치가 거대한데 비해, 직계 후기수는 악희연뿐이다. 
 +    * (대가 끊길 위험 다대...!) anchor>1596944081>366-368 
 + 
 +  * 창왕의 딸 사랑이 지나쳐서 여러모로 문제. 
 +    * 문 내외부로 트러블이 많다. 
 +      * 창왕이 7단이 아니었으면 사단이 나도 진작에 났을 것이다anchor>1596944081>456
  
-○ 방계의 덩치가 거대한데 비해, 직계 후기지수는 악희연뿐이다. +  * 친 황실파 
-(대가 끊길 위험 다대...!) anchor>1596944081>366-368 +  * 부여세와 옛부터 깊게 친교하고 있다. 
-○ 창왕의 딸 사랑이 지나쳐서 여러모로 +  * 홍농양와도 괜찮은 관계 
-가문 내외부로 트러블이 많다. 창왕이 7단이 아니었으면 사단이 나도 진작에 났을 것이다. +  * 궁니르를 선물받은 래 동마 국과 친교를 맺고 있다.
-anchor>1596944081>456+
  
-○ 친 황실파 +  * 악가대학관이라는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 부여세가와 옛부터 깊게 친교하고 있다. 홍농양가와도 괜찮은 관계 +    * 대놓고 무관을 양성하는 사관학교. 
-○ 궁니르를 선물받은 이래 동로마 제국과 친교를 맺고 있다. +      중앙군 간부를 양성하는 사관학교를 봉건 영주가 운영한다는 점에서 초 제국 시스템이 얼마나 이상한지 보여준다. 
-○ 악가대학관이라는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대놓고 무관을 양성하는 사관학교. +    anchor>1596946069>521
-중앙군 간부를 양성하는 사관학교를 봉건 영주가 운영한다는 점에서 초 제국 시스템이 얼마나 이상한지 보여준다. +
-anchor>1596946069>521+
  
-○ 두얼의 산동악가 덱은 84/100 점짜리 컨트롤 덱. +  * 두얼의 산동악가 덱은 84/100 점짜리 컨트롤 덱. 
-견제도 무난하게 잘하고필드 압박도 강력하지만 체력관리가 잘 안 되고 패꼬임에 취약하다.+    견제도 무난하게 잘하고 필드 압박도 강력하지만체력관리가 잘 안 되고 패꼬임에 취약하다.
  
 ===== 인물 ===== ===== 인물 =====
줄 66: 줄 75:
  
 ===== 무공 ===== ===== 무공 =====
-[[:초한무림:무공#산동악가|산동악가 무공]] 참조+[[:초한무림:무공:목록#산동악가|산동악가 무공]] 참조
  
초한무림/세력/산동악가.169778703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20 07:30 저자 무명의_정리참치2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