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초한무림:무공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초한무림:무공 [2023/11/15 04:40] – [술법의 경지] 무명의_정리참치2초한무림:무공 [2024/05/30 11:09] (현재) – [무공의 경지] 39.7.46.147
줄 1: 줄 1:
 ====== 초한무림:무공 ====== ====== 초한무림:무공 ======
-어장주 안즈◆v7F0axAWhU가 연재하는 참치무협 어장, [[:초한무림 |《당신은 초한무림의 유일한 용이 되는 것 같습니다》]]의 무공과 술법에 관한 설정들을 정리한 문서.+어장주 안즈◆v7F0axAWhU가 연재하는 참치무협 어장,\\ 
 +[[:초한무림 |《당신은 초한무림의 유일한 용이 되는 것 같습니다》]]의 무공과 술법에 관한 설정들을 정리한 문서. 
  
 ===== 개요 ===== ===== 개요 =====
줄 7: 줄 9:
 자신의 육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무공, 신념과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술법이라한다.\\ 자신의 육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무공, 신념과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술법이라한다.\\
 초 제국은 숭무주의적 풍토로 인해, 술법 또한 무공의 하위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무 또는 무공이라하면 술법 또한 포함하는 개념. 초 제국은 숭무주의적 풍토로 인해, 술법 또한 무공의 하위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무 또는 무공이라하면 술법 또한 포함하는 개념.
 +
 +====== 목록 ======
 +[[:초한무림:무공:목록|무공 목록]] 참조
 +
 ====== 원리 ====== ====== 원리 ======
  
줄 33: 줄 39:
     * 단, 약한 무공일수록 단순하다.     * 단, 약한 무공일수록 단순하다.
   * 무공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 붙는 효과 또한 다르다.   * 무공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 붙는 효과 또한 다르다.
-    * 개인의 안녕과 건강을 추구하면 장생 효과가, 적의 제압을 추구하면 다른 효과가 붙는 식. +    * 개인의 안녕과 건강을 추구하면 장생 효과가, 적의 제압과 살상을 추구하면 공격에 필중이나 필살 효과가 붙는 식. 
- +  * 무림인의 전력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7018086/1000 
-==== 용어 ====+==== 개념 ====
 === 기氣 === === 기氣 ===
   * 시작점. 우주의 모든 현상이 도출되는 '궁극의 제1원인'이며 '가장 원초적 형태의 에너지'이다.   * 시작점. 우주의 모든 현상이 도출되는 '궁극의 제1원인'이며 '가장 원초적 형태의 에너지'이다.
줄 50: 줄 56:
     * 하나는 상단전, 두뇌에서 생산하는 기氣이며, 술법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 하나는 상단전, 두뇌에서 생산하는 기氣이며, 술법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 둘째는 중단전, 심장에서 생산하는 기氣이며,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에너지라 쓰면 죽는다.     * 둘째는 중단전, 심장에서 생산하는 기氣이며,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에너지라 쓰면 죽는다.
 +=== 경지 ===
 +  * 신검합일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7018086/938
 +  * 강기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7018086/971
 ====== 경지 ====== ====== 경지 ======
 ===== 무공의 경지 ===== ===== 무공의 경지 =====
줄 218: 줄 227:
 ◆ 9단 ー 입신(立神), 신의 경지에 다다름。 ?????????????????????????? ◆ 9단 ー 입신(立神), 신의 경지에 다다름。 ??????????????????????????
  
-<hidden>초패황제 항우만이 도달했다고 알려져 있다.</hidden>+<hidden>초패황제 항우만이 도달했다고 알려져 있다. 
 +초대천마, 전륜성왕 역시 이 경지에 도달했다. 
 +</hidden>
 ◆ 번외 7.5단 ー 조원(朝元) ◆ 번외 7.5단 ー 조원(朝元)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6977071/671/687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6977071/671/687
줄 235: 줄 246:
         * 천화급 술사는 무인으로 치면 7단 이상으로 평가된다         * 천화급 술사는 무인으로 치면 7단 이상으로 평가된다
       * '굳이' 따지자면 천화가 리빙레전드, 지화가 중견(5-6단)급, 인화가 2군(4단 이하)이라 이해하면 편하다.       * '굳이' 따지자면 천화가 리빙레전드, 지화가 중견(5-6단)급, 인화가 2군(4단 이하)이라 이해하면 편하다.
 +
 +===== 피안 =====
 +세계의 이치를 넘어선 초월자들이 승천한 세계.
 +
 +8단의 격에 오른 무인 또는 술법가는 이곳으로 승천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
 +  * 피안의 세계는 모든 것이 하나의 원으로 완결된 '개념', 모든 것이 의미가 없다.
 +  * 여기에 오르는 것은 '격의 상승', 거부하는 생명은 없다.((항우를 제외하고))
 +  * 피안의 세계에 오른 이가 현실에 직접 개입하려 하면 우주가 버텨내지 못 하고 사라진다.
 +    * 따라서 승천자가 현실에 개입하기 위해선 남아있는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힘을 제한시켜 개입하는 수밖에 없다.
 +  * 항우 이후론 동양 출신 무인이 별로 없다, 승천하기 전에 항우한테 맞아 죽는 게 부기지수 때문이다.
 +
 +===== 기타 =====
 +  * 무의 고수들 중 제 실력을 감추고 다니는 이는 많다.
 +  * 항우를 제외하고 강호에서 가장 강한 무인을 일컬어 천하제일인이라 한다.
 +    * 현 천하제일인은 백천, 전대 천하제일인은 여비열이었다.((1486년, 흉마참사로 사망했다.))
 +  * 7단의 극에 오르면 시야가 넓어지기 시작하며 인간이 볼 수 없는 것들((운명, 미래, 가능성, 본질, 진실 등))이 보이기 시작한다. 
 +  * 대부분의 병사 경지는 2단 이하이며, 위관급이 3~4단, 장군급이 5~6단이다.
 +
 +
 ====== 상성 ====== ====== 상성 ======
  
줄 254: 줄 285:
 좁은 의미에서의 무공뿐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개인의 무武를 연마하는 수단이 되는 기술들을 서술한다. 좁은 의미에서의 무공뿐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개인의 무武를 연마하는 수단이 되는 기술들을 서술한다.
  
-===== 분류 =====+
 무공이 추구하는 목표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선택한 수단에 따라서 여러 분류를 할 수 있다. 무공이 추구하는 목표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선택한 수단에 따라서 여러 분류를 할 수 있다.
  
줄 262: 줄 293:
     * 고대 서방세계 무학들은 천마의 가르침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여전히 보존되고 전수되는 중이다.     * 고대 서방세계 무학들은 천마의 가르침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여전히 보존되고 전수되는 중이다.
   * 내공과 외공 : 무를 단련하는 과정에서 내력과 육체 중 어느 것을 우선시하는 지를 기준으로 한 분류.   * 내공과 외공 : 무를 단련하는 과정에서 내력과 육체 중 어느 것을 우선시하는 지를 기준으로 한 분류.
-    * 외공으로 6단으로 오르면 태산을 근력으로 옮길 수 있는 수준이 된다.+    * 외공으로 6단으로 오르면 태산을 근력으로 옮길 수 있는 수준이 되고, 8단은 근육이 무엇이든 무효화할 수 있게 된다.
   * etc.   * etc.
  
줄 280: 줄 311:
     * 마공은 무공연성 과정이 비윤리적인 무공 / 힘을 대가로 사용자를 망가뜨리는 무공으로 나뉘어진다.     * 마공은 무공연성 과정이 비윤리적인 무공 / 힘을 대가로 사용자를 망가뜨리는 무공으로 나뉘어진다.
     * 마기의 분출도 가능하며, 마공은 현재까진 마기만을 발산한다.     * 마기의 분출도 가능하며, 마공은 현재까진 마기만을 발산한다.
 +
 +===== 서양 무학 =====
 +  *  이름이 문장의 절 위주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대천사 미카엘의 전설에 따온 '누가 신과 같으랴' (화염을 구현화하는 극양의 무공이자 상승검술) 등.
 +  *  신분이 낮은 무인이나 용병들은 간단한 네이밍을 선호한다.
 +  *  리히나테워는 자기가 만든 무공의 이름을 지었지만, 사람들은 '리히나테워의 방식'이라 부른다.
 +  *  영웅들의 무기와 무공은 자주 동일시된다.
 +
  
 ===== 혈계한계 ===== ===== 혈계한계 =====
줄 291: 줄 329:
   * 따라서 경지는 사실상 의미가 없지만, 편의상의 구분 정도는 있다,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6927067/557 참조.   * 따라서 경지는 사실상 의미가 없지만, 편의상의 구분 정도는 있다, https://bbs.tunaground.net/trace.php/anchor/1596927067/557 참조.
  
-====== 목록 ====== +
-[[:초한무림:무공:목록|무공 목록]] 참조+
초한무림/무공.170002324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1/15 04:40 저자 무명의_정리참치2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