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한무림:무공:목록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초한무림:무공:목록 [2024/06/30 20:21] – [청성파] 39.7.46.208 | 초한무림:무공:목록 [2024/09/11 07:53] (현재) – [기타 문파] 221.144.14.214 | ||
---|---|---|---|
줄 94: | 줄 94: | ||
* 대성하면 모든 제약에서 벗어나 바람과 같이 자유로워진다. 검법인데 검도 필요없어질 정도의 자유. | * 대성하면 모든 제약에서 벗어나 바람과 같이 자유로워진다. 검법인데 검도 필요없어질 정도의 자유. | ||
* [[https:// | * [[https:// | ||
- | | + | |
+ | * 청성의 비검 | ||
+ | *[[https:// | ||
*【뇌공굉】 : 번개를 부르는 못과 망치. 하늘에서 망치를 내리쳐 벼락과 함께 적을 못박는다. | *【뇌공굉】 : 번개를 부르는 못과 망치. 하늘에서 망치를 내리쳐 벼락과 함께 적을 못박는다. | ||
+ | * [[https:// | ||
==== 곤륜파 ==== | ==== 곤륜파 ==== | ||
[[: | [[: | ||
줄 143: | 줄 146: | ||
* 【육행공】 : 아미파의 기초 동공, 불가의 정순함과 군문의 실용성을 모두 갖추고있다. | * 【육행공】 : 아미파의 기초 동공, 불가의 정순함과 군문의 실용성을 모두 갖추고있다. | ||
* https:// | * https:// | ||
+ | * [[https:// | ||
+ | * [[https:// | ||
==== 태호파 ==== | ==== 태호파 ==== | ||
줄 237: | 줄 242: | ||
*【투사주법】: | *【투사주법】: | ||
*https:// | *https:// | ||
+ | *[[https:// | ||
+ | *[[https:// | ||
+ | *[[https:// | ||
===== 팔왕가 ===== | ===== 팔왕가 ===== | ||
==== 산동악가 ==== | ==== 산동악가 ==== | ||
줄 523: | 줄 531: | ||
내력에 강하게 의존하며 독이 무력화되면 전력의 대부분이 깎여나간다. 약점이 뚜렷해 상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내력에 강하게 의존하며 독이 무력화되면 전력의 대부분이 깎여나간다. 약점이 뚜렷해 상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
- | * 【무정심결】 | + | 《당가 생사집성방 生死集成方》: 생명과 죽음을 다루는 방도를 집대성하다. |
- | * 【제생집성방】 : 생명을 | + | |
- | * 당가 독공과 의술의 결정체. | + | 기원 : |
- | * 최고의 독공이자 최고의 의술로 당가가 수많은 독((무형지독, | + | * 당가의 시조는 평범한 약초꾼이었다. 그는 가족들을 |
+ | * 우연한 | ||
+ | * 아들은 15년 동안 의술을 배운 뒤, 스승에게 황제내경을 포함한 세 의서를 선물받아 고향으로 돌아왔고, | ||
+ | * 이후 당가의 가주들은 의술을 연구하고 집성방을 발전시켜 후대로 전하는 것을 핵심 의무로 받아들였으며, | ||
+ | |||
+ | 특징 : | ||
+ | | ||
+ | * 최고의 독공이자 최고의 의술로 당가가 수많은 독((무형지독, | ||
* 체내의 기운을 조작하여 독기나 약기를 만들어낸다. | * 체내의 기운을 조작하여 독기나 약기를 만들어낸다. | ||
* 당가 연단술의 핵심인 물질조작도 집성방과 유관하다. | * 당가 연단술의 핵심인 물질조작도 집성방과 유관하다. | ||
- | | + | |
- | * 【염왕첩】: | + | |
+ | * 이 안에는 각종 의학적, 생리학적, | ||
+ | * 말하자면 < | ||
+ | * 이런 부분을 보더라도 알 수 있듯 당가는 의가로서의 정체성이 매우 강한 편이다. | ||
+ | * 이들에게 무공이란 어디까지나 치료의 역순, 사람을 상하게 하는 방법일뿐이다. | ||
+ | * 당가의 수법들이 사악해 보일정도로 실용적인 면모를 띄는 것도 이 때문. | ||
+ | * 어차피 사람을 상하게 하는게 목적인데 굳이 여기저기 돌아갈 필요없다. | ||
+ | * 독이랑 암기 써서 바로 죽여버리면 되는 것이다. | ||
+ | |||
+ | * 생사집성방의 핵심은 인체에 대한 생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 가장 적절한 성질의 기운을 생성하는 것. | ||
+ | * 쉽게 말해 체내에서 약기와 독기를 만들어내고 이를 제어하여 원하는 효과를 일으키는 것에 집중한다. | ||
+ | * 무정심결로 체내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 분비를 제어하거나 염왕첩으로 적의 신체기능을 치명적으로 훼손할 수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생사집성방의 내력 생산 및 통제 능력 덕분. | ||
+ | * 다만 이렇게 내력 활용에 의존하다보니 지속력이 떨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 ||
+ | * 기혈이 피로해지고, | ||
+ | * 따라서 당가의 전법은 | ||
+ | * 대체로 독기를 침습시키거나, | ||
+ | |||
+ | * 무공으로서 생사집성방의 구조는 단순하다. | ||
+ | * 체내에서 원하는 약기와 독기를 생성해내는 방법이 내용의 8할. | ||
+ | * 외부에서 독기를 제어하고 상대에게 집어넣는 방법을 다루는 독공 < | ||
+ | * 집성방에서 다루는 의학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면 그 단순한 방법들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결국 당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집성방을 통해 만드는 독의 레시피. | ||
+ | * 이것들이 다른 무공에서의 초식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 ||
+ | * 예) | ||
+ | * 【칠보단혼】 : 심장의 전기 신호를 교란시켜 심장마비를 유도한다. | ||
+ | * 억지로 움직이려고 하면 심장근육이 마구 맥동해 파열된다. | ||
+ | * 【학정홍】 : 대상의 혈관을 급속도로 응고시켜 폐색전증을 유도한다. | ||
+ | * 죽은 이의 혈관을 갈라보면 마치 학의 벼슬과 같이 붉게 덩어리진 핏덩어리들이 잔뜩 발견된다. | ||
+ | * 【군자산】 : 신체의 포타슘 소비를 촉진시켜 신경계를 망가뜨리고 급성 운동신경 마비를 유도한다. | ||
+ | * 감각은 살아있지만 어떤 사고도 말단으로 전달되지않는 상태가된다. | ||
+ | * 자신의 육체라는 감옥에 갇힌채 몸이 서서히 죽어간다. 겉으로는 평온히 잠에드는 것처럼 보이기에 군자산. | ||
+ | |||
+ | |||
+ | *【무정심결】: | ||
+ | * 감정을 통제하고, | ||
+ | * 심하게 무거운 사랑을 중화시키기 위해 익힌다. | ||
+ | |||
+ | *【비사교】: | ||
+ | * 뱀의 몸짓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수공. | ||
+ | * 근접 상황에서 적의 공격을 무효화하고 거리를 벌릴 틈을 만드는 데 목적을 둔다. | ||
+ | * 적의 방어를 거슬러 올라 타격을 주고 적을 위협하는것을 의도한다. | ||
+ | * 명중률이 높고 순간적인 대처능력이 뛰어난 대신 공격력이 매우 약하다. | ||
+ | * 근데 뭐 독 쓰면 되니까. | ||
+ | |||
+ | |||
+ | * 【염왕첩】: | ||
+ | * 독기를 | ||
+ | * 한마디로 어떤 식으로든 | ||
+ | * 다른 내기발출법들과 다르게 은밀성과 방어무시에 대부분의 초점이 맞춰져있다. | ||
+ | * 독기를 빼면 자체적인 데미지도 약하고 속도도 느리고 투로도 단순하지만 은밀성 하나만큼은 무림제일. | ||
+ | * 눈치챈 순간 너는 이미 죽어있다. | ||
+ | |||
+ | * 【추혼비】: | ||
+ | * 무조건 많이 맞추는 걸 목표로하는 암기술. | ||
+ | * 이것 역시 위력도 약하고 속도도 그렇게 빠르지않다. | ||
+ | * 하지만 다수의 암기를 교묘하게 던져 피할 수 없게 만드는 능력만큼은 탁월. | ||
+ | * 대부분의 | ||
+ | * 다만 당가 직계 비전의 오의 < | ||
혈계한계: | 혈계한계: | ||
줄 686: | 줄 758: | ||
* 금강성공 https:// | * 금강성공 https:// | ||
* 뇌신류 https:// | * 뇌신류 https:// | ||
+ | * 형산파 | ||
+ | * 흑성가 https:// | ||
+ | * 파동기공 https:// | ||
====== 일인전승 ====== | ====== 일인전승 ====== | ||
줄 803: | 줄 877: | ||
* 양강기공을 익힌 무인이 상대라면 날아오는 모든 공격을 무효화시킨 후, 상대방의 모든 방어를 무시하고 타격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 * 양강기공을 익힌 무인이 상대라면 날아오는 모든 공격을 무효화시킨 후, 상대방의 모든 방어를 무시하고 타격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 ||
* 다만 음한기공을 상대로는 그냥 평범한 무공이 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 * 다만 음한기공을 상대로는 그냥 평범한 무공이 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 ||
+ | |||
+ | * 【불타는 가시나무】 https:// | ||
+ | * 모세가 황야에서 만난 신의 영광, ' | ||
+ | * 검을 중심으로 성화를 뻗어나가 열기와 신성으로 적을 압박한다. | ||
+ | * 성화를 휘감고 자신의 진체를 그 광채속에 감춘다. | ||
+ | * 궤적을 따라 열풍이 휘몰아치며, | ||
+ | * 강렬한 열기는 궤적을 따라 아지랑이를 남기고 빛의 왜곡은 신기루를 일으켜 적을 현혹한다. | ||
+ | * 화려하기보다는 교묘하며, | ||
+ | * 적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보다 정신적 혼란을 주고, 방어를 무너뜨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환검. | ||
+ | * 성화의 열기와 파사공능이 마치 가시덤불처럼 적을 옭아매 적의 내력운용을 방해한다. | ||
+ | * 마교무공 특유의 CC성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
+ | * 적의 기술을 자괴시키는 카운터형 전술을 사용한다. | ||
* 【우리엘의 법식】 https:// | * 【우리엘의 법식】 https:// | ||
줄 815: | 줄 901: | ||
* 예) | * 예) | ||
* [[https:// | * [[https:// | ||
- | * 【가시나무】: | + | * 【가시나무】: |
+ | * 진정한 효과는 자신의 몸에 불을 붙여도 해를 입지 않고 오히려 성화가 되는 것. | ||
* 【신의 살】: 생명의 권능. 그 힘의 절대성은 죽음도 이겨낸다. | * 【신의 살】: 생명의 권능. 그 힘의 절대성은 죽음도 이겨낸다. | ||
* 【세례영창】: | * 【세례영창】: | ||
* 【화살막이의 가호】: 원거리 공격을 대부분 무력화시키는 가호, 신앙심에 따라 가호의 힘도 커진다 | * 【화살막이의 가호】: 원거리 공격을 대부분 무력화시키는 가호, 신앙심에 따라 가호의 힘도 커진다 | ||
- | * 【호수의 가호】: 물 위를 걸을 수 있게 해주는 가호. 이 가호로 인해 제국은 서양과의 전쟁 중 수상전은 열세에 처할 수 밖에 없었다. 신앙심에 따라 욕조 수준의 물웅덩이부터 호수, 바다까지 걷을 수 있으며 | + | * 【호수의 가호】: 물 위를 걸을 수 있게 해주는 가호. |
+ | * 이 가호로 인해 제국은 서양과의 전쟁 중 수상전은 열세에 처할 수 밖에 없었다고한다. | ||
+ | * 신앙심에 따라 욕조 수준의 물웅덩이부터 호수, 바다까지 걷을 수 있다. | ||
+ | * 섬세하게 운용할 수 있다면 공기 중의 수분을 타고 이동해 상상을 초월하는 기동을 펼칠 수도 있다. | ||
* 【구름 장막】, | * 【구름 장막】, | ||
* 구름 장막은 천기와 미래의 운명을 가린다. | * 구름 장막은 천기와 미래의 운명을 가린다. | ||
* 안개 휘장은 땅의 기억과 과거의 흔적을 지운다. | * 안개 휘장은 땅의 기억과 과거의 흔적을 지운다. | ||
* 마지막으로 아지랑이 베일은 사람의 감각과 현재의 인식을 바꾼다. | * 마지막으로 아지랑이 베일은 사람의 감각과 현재의 인식을 바꾼다. | ||
- | | + | |
+ | * 낮 12시, 정오 1분에 한정해 소지자는 무적이 된다. | ||
+ | * https:// | ||
+ | |||
+ | |||
+ | ==== 영국 ==== | ||
+ | |||
+ | 기본적으로 중검. 정석적이고 심플한 무예다. | ||
+ | 회피보다는 갑주와 방패를 통한 방어를 중시한다.https:// | ||
+ | |||
+ | * [[https:// | ||
==== 그 외 ==== | ==== 그 외 ==== |
초한무림/무공/목록.171977891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30 20:21 저자 39.7.46.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