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참치_여러분_성좌물이라는_걸_아십니까_41-50_위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참치_여러분_성좌물이라는_걸_아십니까_41-50_위 [2018/08/02 12:43] – [『궁극의 브라우니, 크림슨 킹』 〔공용〕] 118.35.191.89참치_여러분_성좌물이라는_걸_아십니까_41-50_위 [2018/08/03 02:43] (현재) – 제거됨 125.181.204.187
줄 1: 줄 1:
-  * [[참치 여러분, 성좌물이라는 걸 아십니까 성좌목록]] 
- 
-=====41-50위===== 
-====『사이다의 신, 스위트 포테이토』==== 
-=대리AA 모히칸 (북두신권)= 
- 
-「능력/사이다패스」 
- 
-【성좌는 포인트 10P를 소모해, 시나리오 내의 인물을 ‘고구마’로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정은 캠페인 당 최대 10명 이하로 제한된다.】 
- 
-【성좌의 능력 후원을 받고 있는 인물에겐, ‘고구마’를 시나리오 내에서 배제하라는 임무가 주어지게 된다.】 
-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경우에, 인물에게 ‘사이다’ 스택이 누적된다.】 
- 
-【사이다 스택은 최대 10개까지 제한되어있으며, 스택이 하나씩 누적될 때마다 인물의 전반적인 능력은 상승함과 동시에, 사이다패스에 걸맞는 도덕성을 점차 지녀가게 된다.】 
- 
-【스택 10이 누적될 경우, 인물은 ‘사이다의 신’을 살해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게 된다.】 
- 
-====『나태 니트』==== 
-=대리AA 나나미 (단간논파 2)= 
- 
-「능력/귀찮아」 
- 
-【시나리오 진행을 늦춘다.】 
- 
-【포인트 투입량에 비례해, 시나리오 진행이 느려진다.】 
- 
-【이 능력은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한다.】 
- 
- 
-====『무한히 재생하는 윤회의 뱀』〔공용〕 ==== 
-=대리AA 하자마(블레이블루)= 
- 
-「능력/재생의 뱀」 
- 
-【인물은 재생하는 뱀의 성흔을 받는다.】 
- 
-【처음에는 하나의 뱀만 새겨지지만, 이후 능력이 강화될 때마다 뱀이 하나씩 늘어나 최종적으론 10개의 뱀이 서로 꼬리를 물어 회전하는 성흔으로 변한다.】 
- 
-【부여받은 성흔은 인물이 상처를 입었을 때 상처로 이동해, 상처를 잡아먹어 재생시킨다. 뱀의 수가 많을수록 상처를 잡아먹는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진다.】 
- 
-【허나, 뱀에게 상처를 잡아먹을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 한계를 넘기면 상처를 모두 토해낸다.】 
- 
-【뱀의 성흔이 잡아먹은 상처를 소화시켜 낼수록, 다음 뱀의 성흔을 새겨넣을때 필요로 하는 포인트가 감소된다.】 
- 
-【포인트를 소모해 일시적으로 뱀의 성흔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다. 양도한 성흔은 이상의 효과를 동일하게 보유한다.】 
- 
-====『궁극의 브라우니, 크림슨 킹』==== 
-=대리AA 에미야 시로(페스나)= 
- 
-「능력/집사의 혼」 
- 
-【능력을 후원 받은 인물은 ‘집사’에 필요한 자질을 모두 가지게 된다.】 
- 
-【일상 및 커뮤니티 능력에 대폭 보정이 가해진다.】 
- 
-【집사란 무엇인가? 그 의문에 본질적인 해답을 던져주는 능력이라 할 수 있으리라.】 
- 
- 
-====『순환』 〔공용〕==== 
-=대리AA 미정= 
- 
-「능력/되먹임」 
- 
-【능력, 아이템, 인물들 간의 상성이 좋은 경우 ‘되먹임’을 통해 서로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 
-【증대된 효과들은 일정 포인트와 ‘이후의 손상과 파손’을 감수하고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 
-【효과가 증대된 상태에서 어떤 계기로 상성 관계가 깨지게 된다면, 대상의 심각한 손상과 함께 시나리오가 종료될 때까지 상성이 역전되는 페널티가 가해진다.】 
- 
-【또한 증대된 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경우, 대상들의 손상이 가해지다가 끝내 파괴된다.】 
- 
  
참치_여러분_성좌물이라는_걸_아십니까_41-50_위.153321378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2/04 01:58 (바깥 편집)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