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츠카_시도_단전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이츠카_시도_단전 [2024/11/09 14:18] – pju980430 | 이츠카_시도_단전 [2025/10/18 17:26] (현재) – [신행백변(神行百變)] 122.40.170.179 | ||
|---|---|---|---|
| 줄 3: | 줄 3: | ||
| [[당신은_매지컬_아카데미아에_입학_했습니다_주인공|주인공]] | [[당신은_매지컬_아카데미아에_입학_했습니다_주인공|주인공]] | ||
| - | ====== | + | ====== |
| ===== 삼재검법 ===== | ===== 삼재검법 ===== | ||
| - 검술배율X1.5\\ | - 검술배율X1.5\\ | ||
| - 무림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기초적인 검법 | - 무림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기초적인 검법 | ||
| - | |||
| - | ===== 삼재보법 ===== | ||
| - | - 회피배율X1.5\\ | ||
| - | - 무림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기초적인 보법 | ||
| - | |||
| - | ===== 제운종 ===== | ||
| - | - ' | ||
| - | - 회피배율X3\\ | ||
| - | - 회피 시, 내공 소모 ' | ||
| - | - 회피 시, 내공 ' | ||
| ===== 요상장(療傷章) ===== | ===== 요상장(療傷章) ===== | ||
| : 부상을 입었을 경우, 운기를 통해 원기를 회복하고 내상을 치료하는 방법, 그 외에 골절이나 자상 등 외과적인 치료 또한 가능하다\\ | : 부상을 입었을 경우, 운기를 통해 원기를 회복하고 내상을 치료하는 방법, 그 외에 골절이나 자상 등 외과적인 치료 또한 가능하다\\ | ||
| - | 숙련도에 따라 단계가 올라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가효과가 해방된다 또한 단계 별로 소모하는 스킬 슬롯수와 내공 소모량이 달라진다\\ | + | 숙련도에 따라 단계가 올라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가효과가 해방된다 또한 단계별로 소모하는 스킬 슬롯수와 내공 소모량이 달라진다\\ |
| ㄴ1단계: 운기토납(0/ | ㄴ1단계: 운기토납(0/ | ||
| 줄 53: | 줄 43: | ||
| ㄴ이때 ' | ㄴ이때 ' | ||
| ㄴ이 상태에서 본체로부터 1km이상 떨어지면 바로 ' | ㄴ이 상태에서 본체로부터 1km이상 떨어지면 바로 ' | ||
| - | ㄴ유체이탈한 정신은 기본적으로 투명화 상태이지만 적의 특수한 스킬에 감지당할 수 있으며 상대의 정신계 스킬에 타격당할수도 있다\\ | + | ㄴ유체이탈한 정신은 기본적으로 투명화 상태이지만 적의 특수한 스킬에 감지당할 수 있으며 상대의 정신계 스킬에 타격당할 수도 있다\\ |
| ㄴ원한다면 투명화를 해제해 상대에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으며 이 상태로 ' | ㄴ원한다면 투명화를 해제해 상대에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으며 이 상태로 ' | ||
| ㄴ이제부터 섭심술로 상대에게 상태이상 ' | ㄴ이제부터 섭심술로 상대에게 상태이상 ' | ||
| 줄 82: | 줄 72: | ||
| ㄴ' | ㄴ' | ||
| ㄴ자신의 차례에 빙정1개를 소모함으로써 내공의 '2할 5푼' | ㄴ자신의 차례에 빙정1개를 소모함으로써 내공의 '2할 5푼' | ||
| - | ㄴ빙정1개를 소모함으로써 1턴간 자신의 육체에 닿는 적에게 | + | ㄴ빙정1개를 소모함으로써 1턴간 자신의 육체에 닿는 적에게 |
| - | ㄴ빙정3개를 소모함으로써 경지를 뛰어넘어 | + | ㄴ빙정3개를 소모함으로써 경지를 뛰어넘어 |
| ㄴ축적할 수 있는 빙정 [3/3]개\\ | ㄴ축적할 수 있는 빙정 [3/3]개\\ | ||
| ㄴ4단계: 수련보살(睡蓮菩薩)(0/????? | ㄴ4단계: 수련보살(睡蓮菩薩)(0/????? | ||
| ㄴ' | ㄴ' | ||
| - | ㄴ자신의 빙정을 | + | ㄴ자신의 빙정을 |
| - | ㄴ축적할수 있는 빙정 [5/5]개\\ | + | ㄴ축적할 수 있는 빙정 [5/5]개\\ |
| + | *' | ||
| ===== 대복마권법(大伏魔拳法) ===== | ===== 대복마권법(大伏魔拳法) ===== | ||
| : 마(魔)를 상대하여 굴복시킨다는 이름답게 양강한 성격을 가진 권법\\ | : 마(魔)를 상대하여 굴복시킨다는 이름답게 양강한 성격을 가진 권법\\ | ||
| 줄 101: | 줄 92: | ||
| ㄴ추가로 내공을 5소모해서 마(魔)계열의 내공을 보유하고 있는 적 또는 마(魔)로 분류되는 적에게 1.3/ | ㄴ추가로 내공을 5소모해서 마(魔)계열의 내공을 보유하고 있는 적 또는 마(魔)로 분류되는 적에게 1.3/ | ||
| - | ㄴ2단계: 철마퇴각(鐵魔退各)(0/ | + | ㄴ2단계: 철마퇴각(鐵魔退各)(0/ |
| ㄴ철같이 단단한 의지로 상대의 마(魔)에게 달아나게 만드는 초식\\ | ㄴ철같이 단단한 의지로 상대의 마(魔)에게 달아나게 만드는 초식\\ | ||
| ㄴ구음심법 2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ㄴ구음심법 2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줄 107: | 줄 98: | ||
| ㄴ상대 또는 자신에게 사용 시, 마(魔)계열에 의한 효과를 해제할 수 있다\\ | ㄴ상대 또는 자신에게 사용 시, 마(魔)계열에 의한 효과를 해제할 수 있다\\ | ||
| - | ㄴ3단계: 천마범일(天魔犯日)(0/ | + | ㄴ3단계: 천마범일(天魔犯日)(0/ |
| ㄴ하늘의 힘을 빌려 날카로운 빛과 함께 마(魔)를 공격하는 초식\\ | ㄴ하늘의 힘을 빌려 날카로운 빛과 함께 마(魔)를 공격하는 초식\\ | ||
| ㄴ구음심법 3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ㄴ구음심법 3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줄 113: | 줄 104: | ||
| ㄴ마귀살파(魔鬼殺破)와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ㄴ마귀살파(魔鬼殺破)와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
| ㄴ상대의 ' | ㄴ상대의 ' | ||
| + | |||
| + | ===== 신행백변(神行百變) ===== | ||
| + | : 신행神行과 백변百變의 단어가 합쳐 있듯이, 빠르면서 신속한 경공술과 천변만변의 변화를 지닌 회피용 보법이 합쳐진 무공\\ | ||
| + | |||
| + | ㄴ1단계: 신행(神行)(0/ | ||
| + | ㄴ신과 같은 속도로 상대에게 돌진하여 공격하는 초식.\\ | ||
| + | ㄴ구음심법 1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회피배율=내공배율 X2/ | ||
| + | ㄴ선공+10/ | ||
| + | ㄴ추가로 내공을 5 소모해서 자신의 이동거리를X2/ | ||
| + | |||
| + | ㄴ2단계: 백변(百變)(0/ | ||
| + | ㄴ백가지 형태로 변화하여 상대의 공격을 회피하는 초식\\ | ||
| + | ㄴ구음심법 2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회피 다이스+1/ | ||
| + | ㄴ최대 내공의 5/ | ||
| + | |||
| + | ㄴ3단계: 절기: 신백(神百) 강림(降臨)(0/ | ||
| + | ㄴ신행과 백변의 모든 특성을 극대화시킨 ' | ||
| + | ㄴ구음심법 3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턴마다 내공 20을 소모\\ | ||
| + | ㄴ발동 중 선공+20 추가로 신행백변으로 얻은 회피다이스 보정을 절대보정으로 취급하고 +1한다\\ | ||
| + | ㄴ발동 중 상대가 같은 공격을 할 경우 해당 공격에 한해 절대 회피가 +1씩 가산된다\\ | ||
| + | ㄴ자신의 남은 내공을 전부 소모하는 것으로 상대의 공격 1회를 ' | ||
| + | |||
| + | ===== 역근단골장(易筋鍛骨章) ===== | ||
| + | : 뼈와 근육을 단련하여 사용자를 구음진경을 사용하기 적합한 육체로 바꾸어 스탯을 증가시키는 아주 희귀하고도 고등한 외공\\ | ||
| + | |||
| + | ㄴ1단계: 단근장혈(鍛筋壯血)(4000/ | ||
| + | ㄴ근육을 단련해 혈류를 촉진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 ||
| + | ㄴ자신의 육체& | ||
| + | |||
| + | ㄴ2단계: 강체련골(强體鍊骨)(0/ | ||
| + | ㄴ몸 전체를 강하게 단련하여 전신의 근육과 뼈가 마치 강철과도 같이 변하게 한다\\ | ||
| + | ㄴ자신의 육체& | ||
| + | ㄴ상시 모든 물리대미지를-1 하며 이 스킬은 특수하게 원래는 중복되지 않는 동종의 효과와 중복된다\\ | ||
| + | |||
| + | ㄴ3단계: 강근노장(强筋勞掌)(0/ | ||
| + | ㄴ팔과 다리의 근육을 극한으로 단련하여 근력을 극대화한다\\ | ||
| + | ㄴ자신의 육체& | ||
| + | ㄴ상시 물리대미지+1을 얻으며 이 스킬은 특수하게 원래는 중복되지 않는 동종의 효과와 중복된다\\ | ||
| + | |||
| + | ㄴ4단계: 절기: 파근진골(破筋盡骨)(0/????? | ||
| + | ㄴ의도적으로 근육을 끊고 뼈를 울리는 극한의 육체 단련법이자 절기\\ | ||
| + | ㄴ패시브: | ||
| + | ㄴ액티브: | ||
| + | ㄴ턴이 돌아올 때마다 채력을 1, | ||
| + | ㄴ이 스킬의 물리대미지를-1을 물리무효로 변경한다\\ | ||
| + | ㄴ상시 물리대미지+1을 상시 물리대미지+1, | ||
| + | ㄴ공격& | ||
| + | |||
| + | ===== 백망편(白蟒鞭) ===== | ||
| + | : 용으로 승천하지 못한 음독한 이무기의 원한과도 같이 움직이는 채찍술. 그 음유함이 위력적이며 초식이 매섭다.\\ | ||
| + | 숙련도에 따라 단계가 올라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가 효과가 해방된다. 또한 단계별로 소모하는 스킬 슬롯 수와 내공 소모량이 달라진다.\\ | ||
| + | |||
| + | ㄴ1단계: 휘감음뢰(攬雷縛敵)(0/ | ||
| + | ㄴ번개처럼 빠르고 뱀처럼 날렵한 채찍으로 원거리에 있는 적을 휘감아 구속하는 초식\\ | ||
| + | ㄴ구음심법 1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사용 시 채찍 필요\\ | ||
| + | ㄴ근접 전투 배율 X2/3.5/6 (단계에 따라 상승), 내공 1 소모\\ | ||
| + | ㄴ적중 시 상대를 휘감아 3의 물리 대미지를 주고 구속\\ | ||
| + | ㄴ구속된 상태에서는 행동을 소모해 채찍을 끊거나 벗어날 때까지 도망갈 수 없으며, 마비 상태가 된다 (구속된 한 해제 불가)\\ | ||
| + | ㄴ채찍의 최대 사거리: 50\\ | ||
| + | ㄴ상대의 육체 스탯에 따라 구속할 수 있는 상한이 결정되며, | ||
| + | |||
| + | ㄴ2단계: 인망납적(引蟒納敵)(0/ | ||
| + | ㄴ구속된 적을 이무기와도 같은 강력한 힘으로 끌어당겨 자신의 앞으로 끌어오는 초식\\ | ||
| + | ㄴ휘감음뢰(攬雷縛敵)로 구속된 적에게 행동 소모로 발동 가능\\ | ||
| + | ㄴ적을 자신의 바로 앞으로 끌어오며, | ||
| + | ㄴ채찍의 최대 사거리: 100\\ | ||
| + | |||
| + | ㄴ3단계: 망형유룡(蟒形遊龍)(0/ | ||
| + | ㄴ강기(氣)를 이용하여 이무기의 형상을 한 채찍을 만들어내는 강기공의 초식\\ | ||
| + | ㄴ구음심법 3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내공 20 소모. 전투 시작 시 더 이상 채찍을 소지할 필요 없이 강기로 이무기 형상의 채찍 생성 가능\\ | ||
| + | ㄴ채찍의 최대 사거리가 자신의 [의지 X 내공 배율]로 변환되며, | ||
| + | ㄴ초식의 대미지가 3의 ' | ||
| + | ㄴ구속 상태의 적에게 자동으로 자신의 턴 시작 시 내공 5를 소모하여 2의 ' | ||
| + | ㄴ휘감음뢰(攬雷縛敵)가 부여하는 마비가 탈진으로 강화됨\\ | ||
| + | ㄴ적 명중 시 행동 소모 없이 자동으로 인망납적(引蟒納敵) 발동 가능 (내공 소모 필요)\\ | ||
| + | |||
| + | ===== 응용오의: | ||
| + | 휘감음뢰(攬雷纏敵) 사용 시, MP20을 소모해 발동\\ | ||
| + | ㄴ기본 대미지가 3->4로 상승하고 채찍이 자체적인 HP를 보유하며, | ||
| + | |||
| + | 또한 MP20을 추가로 소모해 인망납적(引蟒納敵)을 발동할 때 행동 소모가 사라진다\\ | ||
| + | 단, 내공 소모는 별도\\ | ||
| + | |||
| + | ===== 최심장(摧心掌) ===== | ||
| + | : 적중하면 상대의 내장을 파열시키는 악랄하고 강력한 장법\\ | ||
| + | 숙련도에 따라 단계가 올라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가효과가 해방된다. 또한 단계별로 소모하는 스킬 슬롯수와 내공 소모량이 달라진다\\ | ||
| + | |||
| + | ㄴ1단계: 쇄심진파(碎心震破)(0/ | ||
| + | ㄴ손바닥에 내력을 집중시켜 적의 가슴을 강하게 가격하여 내장을 파열시키는 초식. 일격으로 상대의 심장을 진동시켜 파괴한다\\ | ||
| + | ㄴ구음심법 1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근접전투배율X2/ | ||
| + | ㄴ추가로 내공을 5단위로 소모해서 적에게 소모한 내공 5당 +1/ | ||
| + | |||
| + | ㄴ2단계: 혈로혼장(血路魂掌)(0/ | ||
| + | ㄴ강력한 내공을 손에 모아 적의 내부를 타격, 충격파가 내장을 따라 퍼져나가 내장을 파열시킨다. 충격으로 인해 상대의 혈로를 뒤흔들어 혼을 빼놓는다\\ | ||
| + | ㄴ구음심법 2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내공 10소모, 상대에게 최심장을 적중시켰을 때 출혈, 석화의 상태이상을 1/ | ||
| + | |||
| + | ㄴ3단계: 절기: 파호쇄심(破護碎心)(0/ | ||
| + | ㄴ상대의 방어와 호신강기를 단숨에 돌파하여 심장을 직접 타격하는 절기\\ | ||
| + | ㄴ구음심법 3단계 이상의 내공 요구\\ | ||
| + | ㄴ내공 20소모\\ | ||
| + | ㄴ사용시 1턴의 차지가 필요하다\\ | ||
| + | ㄴ자신의 다음 최심장으로 인한 공격에 ' | ||
| + | |||
| + | \\ | ||
| + | \\ | ||
| + | ====== 초능력 ====== | ||
| + | |||
| + | ===== 『원더 오브 U 』 ===== | ||
| + | - 스탠드구현의 화살로 초능력 복사 및 흡수를 각성하여 미래예지와 텔레포트의 영향을 받아 변질된, [운명조작]의 마스터피스급 초능력\\ | ||
| + | - 현 시점에선 일부 제어권이 돌아와, 원더 오브 U가 재앙을 일으킬 때 [재앙스택] 소모로 강제정지 시키는 게 가능하다\\ | ||
| + | - 주인에게 불리한 운명의 흐름 또는 새로운 변곡점이 생성 되었을 때, 그로 인한 재앙을 자동적으로 시도의 적에게 자율적인 판단 하에 떠넘긴다\\ | ||
| + | - 이하 상세불명 | ||
| + | |||
| + | ===== 재앙의 예언가 ===== | ||
| + | - 일주일마다 한번 자신의 하(자신의 정신(의지 스탯)/ | ||
| + | - 다이스를 굴려 나온 [크리]를 저장하지 않을 때 또는 [OO권]을 사용할 때마다 [재앙스택]을 1 적립한다(최대 자신의 정신/ | ||
| + | - 저장된 [재앙스택]은 원더 오브 U 의 동력원 및 다른 스킬로 사용된다\\ | ||
| + | |||
| + | ===== 재앙소환 ===== | ||
| + | - 정신력 10소모. 의지배율X3\\ | ||
| + | - 이제 텔레포트가 당신에게 닿은 물건을 범위내로 옮기는 게 아니라, 타인에게 사용 시 대상에게 [재앙]이 되는 물건을 무작위로 끌고 온다. 현재 쌓여있는 [재앙스택]만큼 +된다.\\ | ||
| + | - 추가로 [재앙스택]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된 재앙에 [필중] 또는 [관통]을 부여할 수 있다. 소모량은 대상의 격에 따라 달라진다.\\ | ||
| + | - 기본은 물리. 상대에게 상성이 나쁜 물건이 소환된다\\ | ||
| + | - 상대는 마법저항이 아닌 회피스킬 등으로 피할 수 있다 | ||
이츠카_시도_단전.173116190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pju980430
